mountainhiker

mountainhiker

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• Hardware
    • AI
    • Layer7
      • Layer7_Hardware
      • Layer7_Reverse Engineering
      • Layer7_System Hacking
      • Layer7_Network
      • Layer7_Web Hacking
    • Projects
    • Review
    • About
    RSS 피드
    로그인
   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    mountainhiker

    컨텐츠 검색

    태그

    Layer7 네트워크 Reverse Engineering 웹 해킹 PLT&GOT BOF web hacking C언어 시스템 해킹 Buffer Overflow 리버싱 dreamhack 포너블 SQLi HackCTF System Hacking Lord of SQLI flip-flop Network 하드웨어

    최근글

    댓글

    공지사항

    • 새단장 했슴당~!~!

    아카이브

    Hardware(4)

    • 메모리 계층 구조와 캐시 & 레지스터에 대하여 – 하드웨어 시리즈 #4

      지난번 글에서는 순차회로에 대해 알아봤고, 순차회로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인 저장 모듈인 flip-flop과 그것을 동작시키는 clock에 대해 알아봤다. 이번에는 레지스터 파일 (register file)에 대해 알아본다. 일단 레지스터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니까 먼저 메모리 계층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: 메모리의 종류로는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레지스터 - 캐시 - 주기억장치 - 플래시 - 하드디스크가 있다.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속도는 느려지는 반면, 용량은 커지고 접근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적게 소모된다. 또한 위에 레지스터와 캐시를 보다시피 둘은 CPU에 내장이 되어 있으며, 그 외에는 모두 컴퓨터 안에 다른 장치로 자리 잡는다. 주기억장치는 RAM으로, 플래시를 SSD 정도로, 하드디스크는 흔히 아는 H..

      2023.02.19
    • 순차회로, 클럭, 플립플롭 - 넌 누구니? – 하드웨어 시리즈 #3

      이번에는 순차회로에 대해 알아보자 아래 글에서 조합회로와 순차회로가 무엇이고 어떻게 구별하는지 알아봤다. 조합회로는 뭐고 순차회로는 대체 뭘까 – 하드웨어 시리즈 #1 하드웨어를 배우게 되면 아마도 가장 먼저 배우는 개념들 중 하나가 이 둘이다.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좀 더 와닿게 이야기하자면, 이 둘을 기반으로 CPU가 설계된다는 사실이다. 일단 조합회 mountainhiker.tistory.com 위 내용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이번 글도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다. 순차회로는 항상 얘기하듯이 현재 입력과 과거 입력에 의해 출력이 결정되는 회로이다. 순차회로는 위 두 입력을 모두 사용하는 로직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, 굳이 순차회로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는 따지지는 않는다. (그냥 과거 입력과 현재 ..

      2023.02.15
    • 아니 그래서 조합회로엔 뭐뭐 있는데? – 하드웨어 시리즈 #2

      지난번 글에서 조합회로와 순차회로가 무엇이고 어떻게 구별하는지 알아봤다. 기억이 나지 않거나 아직 못 읽어보신 분들을 위해: 조합회로는 뭐고 순차회로는 대체 뭘까 – 하드웨어 시리즈 #1 하드웨어를 배우게 되면 아마도 가장 먼저 배우는 개념들 중 하나가 이 둘이다.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좀 더 와닿게 이야기하자면, 이 둘을 기반으로 CPU가 설계된다는 사실이다. 일단 조합회 mountainhiker.tistory.com 위 내용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이번 글도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다. 그래서 지난 글을 복습하자면 조합회로 : 현재 입력에 따라서 즉시 출력 (기억 능력 X) 순차회로 : 현재 + 과거 입력에 따라 출력 자, 그럼 조합회로 중에서 어떤 것들이 있을까? 이런 질문을 할 수 있다. 그래서..

      2023.02.13
    • 조합회로는 뭐고 순차회로는 대체 뭘까 – 하드웨어 시리즈 #1

      하드웨어를 배우게 되면 아마도 가장 먼저 배우는 개념들 중 하나가 이 둘이다.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좀 더 와닿게 이야기하자면, 이 둘을 기반으로 CPU가 설계된다는 사실이다. 일단 조합회로와 순차회로는 대충 어디다 써먹는지는 알겠고.. 그래서 뭔데? 조합회로란, 현재 입력에 의해서만 출력이 결정되는 회로이다. 예시를 들어보자면, AND 게이트, OR 게이트 등이 있을 수 있다. 왜일까? 어쨌든 AND 게이트에 신호를 넣으면 바로 출력 Y가 나오기 때문이다. 진리표에서 볼 수 있듯이, 입력 A와 B 신호에 변화가 생기는 순간, 즉 A와 B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을 때 Output이 바로 결정이 되어 즉시 출력이 나온다. (물론 회로 자체의 delay를 무시한다면 즉시 나온다고 할 수 있다.) ..

      2023.02.12
    이전
    1
    다음
    mountainhiker
    © 2023 mountainhiker. All rights reserved.

    티스토리툴바